본문 바로가기
부를 위한 걸음

삼성전자와 BYD 콜라보 가능 할까? 삼성의 '사즉생' 전기차 반도체 시장 러브콜

by CrownU 2025. 3. 27.
반응형

삼성전자는 우리나를 대표하는 반도체 기업입니다. 그러나 5 만전자라고 불리는 굴욕까지 경험했습니다. 이재용 회장은 최근 '사즉생' 메시지를 내고 첫 번째로 BYD(비야디) 본사를 방문하며 새로운 글로벌 행보를 시작했습니다. 삼성전자가 새로운 돌파구로 전기차 업체의 최고경영진과 회동하며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BYD 자동차 견적

 

삼성전자의 과거와 현재

반응형

과거 2016년 삼성전자는 BYD에 약 530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지만, 이후 5년이 지난 2021년 지분의 대부분을 매각한 바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난 4년 동안 두 회사의 협력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BYD가 자체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사업을 강화하는 경과에 따라 삼성전자의 입장은 더욱 미묘해졌습니다.

현재 BYD는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중국의 시장을 기반으로 성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2021년 지분 매각 당시 삼성은 별다른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삼성전자 주가

최근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 부진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전기차 반도체라는 틈새 시장을 타깃으로 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BYD

이 회장은 BYD 본사 방문을 통해 왕촨푸 회장과 직접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BYD는 지난해 미국의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로 자리 잡았으며, 최근에는 한국 시장에도 진출하여 소형 SUV '아토 3'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또한 2025년 내에 씰, 돌핀, 씨라이언7의 추가 출시까지 예정되어 있습니다. 아토 3은 돌풍을 일으키지 못했지만 아토 3의 2600만 원부터 가장 비싼 모델인 씨라이언 7의 4490만 원대까지 가성비와 고급차들을 모아놓은 듯한 디자인으로 다음 모델들의 출시에 관심이 많은 상황입니다.

byd 아토3
byd 아토3

이런 상황에서 삼성 이재용 회장의 방문은 BYD와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급성장하는 전장 사업의 판로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전기차와 반도체

전기차에는 내연기관 차량보다 5배 이상의 반도체가 필요합니다. 평균 1000개에서 자율주행차는 2000개에 달하는 반도체가 장착됩니다. 따라서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반도체 업체들에게 큰 기회를 제공합니다. 삼성전자는 자사의 차량용 OLED, 디지털 콕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메모리반도체에 대한 시장성이 축소되고, SK하이닉스가 HBM처럼 비메모리반도체에 대한 성장세가 커지면서 삼성은 긴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삼성과 BYD 향후 전망

이재용 회장의 BYD 방문이 실제 성과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BYD는 자체적으로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상당 부분의 부품을 내부에서 조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협력 가능성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반도체뿐만 아니라 삼성디스플레이의 차량용 올레드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인 ADAS, 차량용 오디오 등도 납품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세계 1위라는 말은 1가지 품목만 들어가도 엄청난 매출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때문에 앞서 샤오미 레이 쥔 회장을 만나 다양한 전기차에 대한 관심과 영업을 하는 모습을 볼 때 전기차 시장에 대한 삼성전자의 러브콜은 지속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회동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회장이 최근 사법 리스크에서 벗어난 후 첫 글로벌 경영 행보로 주목받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삼성전자 BYD
삼성전자 BYD

마치며

삼성전자가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업체에 러브콜을 보내는 것은 향후 전기차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BYD의 자체적인 반도체 생산능력과 삼성전자의 기존 지분 매각 등의 배경을 고려할 때, 실제로 어떤 성과가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기업인 삼성전자가 전기차 업체와 함께 다시한번 날개를 펴고 10 만전자로 오르길 기대해 봅니다.

 

중국 전기차 비야디(BYD) 테슬라(TSLA)를 앞지르다. 가격 및 주가는?

중국의 전기차 비야디(BYD) 들어 보셨나요?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1위의 전기차 판매량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전기차 제조 기업입니다. 중국 최대의 전기차 제조사로,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고 있

crownu100.com

 

 

 

전기차 LFP 및 NCM 배터리 종류와 3년 5년 10년 사용기간에 따른 성능

전기차의 핵심 구성 요소인 배터리는 그 종류에 따라 수명과 성능에 차이를 보입니다. 저는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고 있어 특히 관심이 많습니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배터리 종류인 LFP(리튬 인

crownu100.com

 

 

 

LFP배터리와 NCM배터리의 뜻과 특징 장단점 1분 정리

전기차가 대중화되면서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차 가격의 대부분이 배터리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 기아차에서는 NCM배터리 KGM에서는 LF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엇이

crownu100.com

 

반응형

댓글